logo
Facebook By Weblizar Powered By Weblizar
Copyright THESTORYHOUSE © 2016
 
Category
소설

 
 

지은이 | 모토야 유키코
페이지 | 168쪽
가 격 | 12,000원

 
 
 
 


 
 

마이니치, 아사히가 극찬한 아쿠타가와 상 최종 수상 후보작!
일본의 20대 문화를 선도하는 도발적 작가 모토야 유키코의 신작 소설

 
 

“넌 좋겠다, 나랑 헤어질 수 있어서…….”

 
 
 

모토야 유키코의 신작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랑》이 이야기가있는집에서 출간되었다. 강한 자의식으로 무장한 과대망상증에 사로잡힌 인간을 주인공으로 독특한 작품을 발표해오고 있는 모토야 유키코는 극작가, 연출가, 소설가 그리고 라디오 DJ,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현재 일본의 20대 문화를 선도하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소통의 부재로 아파하는 청춘들의 문제점을 신랄하게 표출함으로써 발표하는 작품마다 독자들과 평단에서 주목을 받으며 ‘미시마유키오 상’과 ‘아쿠타가와 상’ 등 유력한 문학상 후보로 선정되고 있다.

 
 
 
 
 


 
 
 

일본의 20대 문화를 선도하는 모토야 유키코
극단적 우울증으로 숨어버린 이 시대 청춘들의 마음을 쓰다듬다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랑》은 일반적인 연애소설의 틀을 크게 벗어나 있다. 그것은 모토야 유키코가 극작가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모토야 유키코는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또한 ‘극단 모토야 유키코’라는 연극 유닛을 이끌고 있다.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모토야 유키코의 장점은 ‘일정한 거리 두기’를 소설 작품에서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다. 빠른 전개와 장면 전환 그리고 강렬한 캐릭터는 마치 한 편의 연극을 보는 것 같다. 이러한 장치는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격리시키고 조울증에 가까운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그리는 이 작품에서도 빛을 발한다. 그녀는 이 작품에서 누군가가 진정으로 자신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전달되기 힘든 시대의 사랑을, 또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의 생생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모토야 유키코의 작품을 보면 소설과 희곡을 불문하고 자기 생각에 푹 빠져서 격렬하게 반응하는 자의식 과잉 상태의 여자가 폭주하는 상황이 종종 묘사된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자학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자기완결’이든 ‘2인 완결’이든 ‘아이드 미쓰오’적 세계관을 가진 ‘가족적 완결’이든 아무튼 내부를 향해 ‘완결’하려고 하는 움직임에 대한 파괴적이 역행이라고 볼 수 있다. _나카마타 아키오(문예비평가)

  
 
 
 


  

조울증, 수면과다증 그리고 스물다섯!
살아간다는 것, 사랑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 찾기 
 

“왜, 내가, 이렇게, 바보처럼, 잠만 자는지, 누가, 알아듣게, 설명 좀 해봐!”  

아무 것도 보고 싶지 않아 방에 콕 틀어박힌 지 20일째다. 우울증이 어디에서 시작돼서 어떻게 끝나는지 알 수 없지만 이번에는 제법 심각한 놈이 온 것 같다. 함께 아르바이트를 하던 남자에게 가볍게 데이트나 하자는 말을 들은 후 ‘이렇게 별 볼 일 없는 놈한테도 내가 쉽게 보이는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야스코는 깊은 우울증에 빠졌다. 만사가 귀찮기만 하다. 그리고 야스코는 사람으로부터, 세상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깊은 잠을 선택한다. 
 

세상에서 야스코를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의료보험도 해지되었고, 여권도 없고, 운전면허증도 없다. 처음 미팅에서 만난 츠나키와 동거를 시작한 지 3년이 되었다. 고등학생 시절 담임선생이 신칸센 고속열차를 닮아 공부할 마음이 생기지 않아 중퇴를 하려고 했던 즉흥적이고 어디에서도 튀는 야스코에게 츠나키는 세상에서 가장 재미없는 남자였다. 야스코의 우울증으로 인한 도발에도 츠나키는 그저 ‘응’, ‘미안해’라고 할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츠나키의 전 애인 안도는 야스코를 무작정 세상 밖으로 밀어내기 시작한다. “방구석에 틀어박혀 평생 잠만 자는 거랑 죽어버리는 거랑 별 차이도 없잖아?” 죽지 못할 거면 츠나키를 떠나 홀로 독립하라고 강요하는 안도의 강압에 자그마한 레스토랑인 라티나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가족이 운영하는 레스토랑인 라티나에서 “우울증은 외로워서 생기는 거야”라고 건네는 따뜻한 말에 야스코는 ‘어쩌면 이번에는 정말 잘할 수 있을 것 같아’라고 생각한다. 그날 저녁 야스코의 환영식에서 ‘비데’에 대한 생각의 차이로 야스코는 가장 치명적인 폭주를 하게 된다. 
 

벌거벗은 채 눈으로 덮인 옥상에서 츠나키에게 “너가 지금 이 순간을 5000분의 1초 만이라고 기억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는 야스코. 그녀는 끊임없이 자신을 알아달라는 몸부림을 무시한 츠나키에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진심을 건넴으로써 세상과의 소통을 위해 진정한 발걸음을 내딛게 된다. 
 
 
 

연애는 일종의 환상이다. 하지만 연애라는 환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이 있다. 그 조건이란 당사자들이 ‘2인 완결’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자기완결’을 이룬 사람은 일부러 ‘2인 완결’이라는 귀찮은 상태를 타인과 함께 만들 필요는 없다. 그래서 자기완결을 이룬 사람은 연애를 하지 않는다.  
__나카마타 아키오(문예비평가) 
 
 
 
 


 
 

아프고, 숨고 싶지만 세상으로 부화하기 위해 갇힌 틀을 깨다
 
 

야스코의 마지막 폭주는 세상을 향해 던지는 외침이다. 그것이 사랑이든, 사랑이 아니든 상관없다. 단지 사람으로서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랑>은 야스코가 츠나키라는 존재를 통해 자신을 치유해가는 과정이다. 무관심하고 재미없고 항상 똑같은 말과 행동만 하는 츠나키에게 더 이상의 사랑을 느끼지 못했던 야스코. 잠깐이지만 사람으로서 자신의 아픔을 알아줄 것만 같았던 ‘레스나’의 식구들. 하지만 결국 야스코에게 깊은 상처를 주게 되는 것은 사랑인 척 행동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정상인 척 행동한 야스코 자신이었다. 
 

“일어나”라고 말하며, 문을 똑똑 두드리는 츠나키의 반복적인 행동은 야스코가 가진 장애를 치유하는 방법이다. 돌발적인 안도의 출현이나 세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자신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사람들의 방식은 야스코를 더욱 자신 안으로 고립되게 만든다. 고치를 뚫고 세상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험난한 과정과 지난한 시간이 필요하다. 찬란하게 세상으로 나올 야스코를 위해 스물다섯 살씩이나 먹은 여자가 아닌, 아직 스물다섯 살을 깊은 잠으로 살아온 여자를 위해 세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과연 연애소설이라고 불러도 될까? 맛이 진한 ‘노른자’와 너무도 담백해 보이는 ‘흰자’가 어느 한순간만큼은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사실이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연애소설로서도 충분히 성립된다. 그러나 고전적인 연애 드라마가 ‘연인’ 대 ‘세상’이라는 대립 구도를 기본으로 하는 것과는 반대로 이 소설에서 야스코와 츠나키는 자아라는 껍데기 속에 틀어박혀 있기는 해도 사실 사회와는 전혀 ‘대립’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타협’은 야스코의 특기니까. 야스코가 대립하는 상대는 사회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그래서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츠나키, 넌 좋겠다. 나랑 헤어질 수 있어서 정말 좋겠다.”
 
__나카마타 아키오(문예비평가) 
 

이 책에 함께 수록되어 있는 <그 새벽의>는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랑>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이다. 남자친구와의 사소한 말다툼으로 무작정 집을 나온 그 새벽. 한겨울에 비치샌들을 신고 지방도로 14호선을 따라 걷기 시작한다. 그리고 헤어진 옛 남자친구에게 전화를 건다. <그 새벽의> 주인공 역시 즉흥적이다. 그저 감정에 충실한 행동을 할 뿐이다. 하지만 모토야 유키코는 잠시의 방황을 일방적인 떠남으로 풀어내지 않는다. 다시 돌아갈 수 있는 애인이라거나, 도망쳐 나온 자신을 데리러 오라고 요청하는 것은 모토야 유키코가 제안하는 이 시대 청춘들에게 세상과의 진정한 화해의 방식이다.
 
 
 
 


 
 

|  모토야 유키코(本谷有希子) 
 

1979년 일본 이시카와 현에서 태어난 모토야 유키코는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로 올라와 2000년에 ‘극단 모토야 유키코’를 창단하여 극작과 연출을 맡았다. 소설가로도 활동을 시작하여 《바보들아 슬픈 사랑을 내보여라》가 ‘미시마 유키오 상’ 후보가 되었고,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랑》은 ‘미시마 유키오 상’과 ‘아쿠타가와 상’ 후보에 올랐다. 2006년에 상연된 희곡 <조난>으로 ‘쓰루야 난보쿠 희곡상’을 최연소로 수상하였고, 2008년 상연작 <행복해 최고야 고마워 진짜로!>는 ‘기시다 쿠니오 희곡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바보들아 슬픈 사랑을 내보여라》가 영화화되어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에서 ‘프리 스피리트’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요코하마 영화제와 칸 영화제 등에서 작품성을 높이 평가받아 다양한 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에리코와 절대로》, 《절망》, 《난폭함과 대기》, 《혼타니짱》, 《괌》, 《그 애 생각은 이상해》 등이 있다.